본문 바로가기

실생활 정보

애플페이 카드 등록 - 교통카드 기능, 사용 가능한 가맹점 등 정리

안녕하세요. 베타입니다.

 

애플페이-카드-등록-방법-가맹점-정리-썸네일

 

오늘 살펴볼 주제는 바로 애플 페이입니다. 구체적으로는 애플 페이 카드 등록 방법, 교통 기능 여부, 사용 가능한 가맹점 등 사용자들에게 당장 필요한 내용을 종합적으로 정리해보려 합니다. 

 

애플 페이가 2023년 2월 3일 금융당국의 심사를 통과하여 조만간 국내에 출시될 예정입니다. 지금은 단독으로 심사를 올렸기 때문에 당장은 현대카드만 등록하여 사용 가능할 예정이지만, 추후 사업의 추이를 보며 다른 회사들도 참전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현대카드의 정태영 부회장은 2023년 2월 6일 출근하는 직원들에게 아침에 사과를 나눠주기도 하고, 애플의 로고처럼 사과를 깨문 사진을 올리기도 하였습니다. 오랜 협의 끝에 단독으로 출시하는 만큼, 부회장까지 나서서 본격적인 도입을 홍보하고 있습니다.  

 

정태영-부회장-인스타그램-피드

 

이렇게 출시가 정말 코앞에 다가왔다는 기대 때문인지, 2023년 3월경 출시 예정이라는 소문이 돌고 있습니다. 사실 출시 예정일을 두고 2020년부터 여러 루머와 소문이 돌고 시작했었는데요. 2020년 8월부터 현대카드가 애플과 독점 계약을 맺었다는 소문이 돌았습니다. 당시 회사는 사실무근이라고 밝혔었는데, 알고 보니 사실무근이 아니었던 것이죠.

(물론, 금융당국 심사가 지연되며 출시가 늦어졌습니다. 독점 계약 조항도 사라졌습니다.)

 

그동안 출시가 지연되었던 금융당국의 심사가 긍정적으로 종료되었으니, 빠른 시일 내에 국내에서도 이용 가능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때문에 카드 등록 및 실제 사용법과 관련된 이슈를 미리미리 알아보겠습니다.

 

 

목 차

  1. 카드 등록 방법
  2. 페이 사용 방법
  3. 사용 가능한 가맹점
  4. 교통카드 기능 사용 가능 여부
  5. PAY 수수료 -  SAMSUNG PAY와 비교

 


1. 카드 등록 방법

 

전체적인 등록 방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지갑 앱을 찾아서 아래와 같은 절차로 진행합니다. 

 

애플-카드-등록-방법-요약
카드 등록 절차 - 공식 소개 동영상

 

"Wallet - Tap - Scan - Bank - Done"

 

공식적으로 카드 등록 절차를 소개하는 영상에 이렇게 나와 있네요. 사실 절차 자체는 SAMSUNG PAY와 동일하지만, 설명하는 방식이 왠지 모르게 심플하고 인상적이네요. 이를 조금 더 풀어서 설명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 휴대폰 안에 설치된 지갑 앱 실행
  • 우측 상단에 + 부분 클릭
  • 카드를 스캔하여 인식
  • 은행 인증
  • 등록 완료

 

아이폰의 앱 검색에서 '지갑' 또는 'Wallet'으로 검색을 하셔서 나오는 앱을 실행하시고, +를 탭 하여 진행하시면 됩니다. 하지만 현재 완전히 출시한 것이 아니기 때문에 등록이 되지 않는 상황입니다. 본격적으로 서비스가 시행되면, 그제야 등록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 

 


2. 페이 사용 방법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PAY로서의 가치가 있는 것이겠죠? 실제 사용하는 방법은 역시 간단합니다.

 

  • 아이폰의 NFC를 활성화시킵니다. (NFC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 측면 버튼을 더블 탭합니다.
  • 등록된 기본 카드를 확인합니다. 탭 하여 다른 것으로 변경할 수도 있습니다. 
  • Face ID를 인식하거나, 미리 설정해 둔 암호를 입력합니다.
  • 아이폰 상단 부분을 NFC 단말기에 인식시킵니다.
  • 화면에 '체크 표시'가 나오면 완료입니다. 

 

애플페이-결제완료-확인화면-체크표시
결제 완료 확인하세요.

 

SAMSUNG PAY의 경우, 홈 화면에서 하단을 끌어올리는 탭을 하면 실행되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여기서는 측면 버튼을 더블탭하여 실행할 수 있군요. 어느 방법이 더 편한 지도 양측 진영(?)의 싸움이 예정되어 있겠습니다. 

 


3. 사용 가능한 가맹점 

 

SAMSUNG PAY의 경우, MST(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방식을 쓰고 있으며, 일반 카드의 동작 절차와 동일합니다. 때문에 마그네틱을 긁어서 사용하는 단말기에서 모두 쓸 수 있습니다. 별도로 단말기를 설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NFC방식-표시-그림
NFC 사용 가능 표시

 

하지만 Apple PAY의 경우,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방식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NFC 방식이 보안 및 인식률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지만, 단말기를 별도로 설치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다른 국가의 경우, NFC 방식이 일반화되어 있지만, 국내는 삼성이 MST 방식을 차용함으로써, 가맹점들에 NFC 단말기 보급이 이뤄지지 않았습니다. 단말기 1대에 20만 원 정도 하기 때문에 당장 도입이 안 되는데 굳이 먼저 설치할 이유가 없던 것이지요. 

 

때문에 현재는 사용 가능한 가맹점이 한정됩니다. 다음과 같은 장소에서 우선적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 GS25, CU, 세븐일레븐 등 전국 편의점
  • 스타벅스, 투썸, 할리스 등 커피 전문점
  • 이마트, 코스트코 등 마트

 

일단 편의점, 커피 전문점처럼 페이를 많이 꺼낼 것 같은 장소에서는 쓸 수 있기 때문에 당장은 한시름 놓았네요. 막상 도입했는데 이용할 수 있는 가맹점이 없으면 허탈할 테니까요.

 


4. 교통카드 기능 여부 

 

국내 아이폰 사용자가 갤럭시 기종 사용자에게 유일하게 부러워하는 점은 바로 편하게 대중교통을 탈 수 있다는 점입니다. SAMSUNG PAY만 있으면, 지갑 없이 휴대폰만 있으면 어디든 다닐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런데, 애플 페이가 국내에 도입되더라도, 교통 기능은 당분간 사용하기 어려울 예정입니다. 갤럭시의 경우, 대중교통에서 '띡'하고 찍을 수 있어서 굉장히 편한데, 이는 티머니와 계약을 체결하여 활성화시킨 것이라고 합니다.

 

애플 측도 티머니, 국내 대중교통 관련 회사들과 별도의 협의를 거치면, 교통 기능이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그때까지 시간이 걸리겠지만요.

 

2023년 3월쯤 본격적으로 출시하기 전에 협의를 마치고, 미리 기능이 활성화된다면, 국내에서 갤럭시를 쓰던 사람들도 아이폰으로 대폭 유입될 것 같은데 말이죠.

 


5. PAY 수수료 - SAMSUNG PAY와 비교

 

마지막으로 수수료 측면에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삼성의 경우, PAY  이용에 따른 수수료를 별도로 부과하지 않고 있습니다. 삼성 측에서는 무리하게 돈을 뜯어내기보다는, 광고를 송출함으로써 운영 이익을 대신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애플의 경우, 결제 금액의 0.15% 정도에 해당하는 금액을 수수료로 부과하고 있다고 합니다. 카드사가 0.5% 정도 수수료를 부과하는데, 애플 페이의 요금도 추가되는 것입니다. 

 

일부 사람들은 이러한 정책으로 인해, 삼성 페이도 수수료를 도입할 것이고, 전체적으로 일반인들에게 비용이 전가되는 것 아니냐고 걱정하고 있습니다. 특히, 가맹점에게 수수료를 떠넘길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됩니다. 

 

하지만, 금융당국이 가맹점들에게 페이 수수료를 전가하지 않는 조건으로 허가를 해줬다고 하니, 일단은 운영되는 상황을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국내 아이폰 사용자들이 오랜 시간 기다려온 만큼, 하루 빨리 출시되길 기대합니다. 

 

 

 

[추천 글 : 실생활에 필요한 앱 사용법]

 

 

챗gpt 어플 - 공식 앱 없음, 어플처럼 사용하는 법

안녕하세요, 베타입니다. 챗GPT가 요즘 아주 핫한 주제로 떠올랐습니다. 챗GPT는 오픈 AI라는 미국의 AI 개발 회사에서 배포한 인공지능 플랫폼입니다. 평어로 질문을 하면, 학습된 데이터를 바탕

beta-economylife.tistory.com

 

트래블 월렛 사용법 - 카드 발급, 충전, 해외 직구 방법 등

안녕하세요. 베타입니다. 오늘은 트래블 월렛 사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트래블 페이(Travel Pay)라고도 하는데요. 전 세계 38개국의 통화를 환전해서 넣어놓고, 해외에서 체크로 결제할 수 있게 한

beta-economylife.tistory.com

 

반응형